반응형
MMSE(Mini-Mental State Examination)는 치매 선별 검사로, 환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. 한국형 MMSE(K-MMSE)는 한국 문화와 언어에 맞게 조정된 버전입니다. 이 검사는 시간 지남력, 장소 지남력, 즉각 기억, 주의 집중과 계산, 단기 기억, 언어, 시공간 구성력 등 다양한 인지 영역을 평가합니다.
MMSE-K 검사 항목
- 시간 지남력(Time Orientation): 현재 연도, 계절, 날짜 등을 묻습니다.
- 장소 지남력(Place Orientation): 현재 위치, 도시, 국가 등을 묻습니다.
- 즉각 기억(Immediate Recall): 특정 단어를 들려준 후 즉시 따라하게 합니다.
- 주의 집중과 계산(Attention and Calculation): 일련의 숫자를 거꾸로 말하거나, 특정 숫자에서 계속 빼는 계산을 시킵니다.
- 단기 기억(Short-term Recall): 앞에서 들은 단어를 기억해내도록 합니다.
- 언어(Language): 특정 물건의 이름을 맞히거나 문장을 따라 말하게 합니다.
- 시공간 구성력(Visuospatial Ability): 도형을 보고 따라 그리게 합니다.
MMSE-K 점수 해석
- 24점 이상: 정상 범위
- 20~23점: 경도의 인지 손상 의심
- 19점 이하: 중등도 이상의 인지 손상
MMSE-K 검사는 간단하고 빠르게 진행되며, 주로 5~10분 내에 완료됩니다. 그러나 MMSE-K는 치매 확진 검사가 아니라 선별 검사이므로, 추가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. 추가 검사로는 CERAD-K, SNSB, CDR 등이 있으며, 이들 검사를 통해 더 구체적인 인지 기능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.
추가 검사
- CERAD-K: 한국형 알츠하이머병 평가도구로, 치매의 유형과 중증도를 평가합니다.
- SNSB: 신경심리검사 배터리로, 다양한 인지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.
- CDR(Clinical Dementia Rating): 임상 치매 등급으로, 기억력, 판단력, 문제 해결 능력, 사회적 상호작용 등을 평가하여 치매의 진행 단계를 구분합니다.
한국치매예방센터
Home치매예방센터자료실 자료실 [동영상] 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 (MMSE-DS) 작성자 : 관리자() 작성일 : 2018-03-29 조회수 : 17934 파일첨부 : MMSE.jpg 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
www.cdp.or.kr
MMSE-K 검사는 치매 초기 선별에 유용하지만, 단독으로 치매를 확진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. 따라서 MMSE-K 결과가 비정상적일 경우, 보다 정밀한 검사를 통해 확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반응형